
(오늘의 미션)
Q.YMCA의 원조는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중 어느 것일까?
A:,<전문가 의견>
인 보관 운동은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 중심으로 일어난 사회개량 운동으로 빈곤지역의 중심부에 사회복지관을 세워 빈곤자들과 함께 공동생활을 영위하였으며, 최초의 인보관은 1884년 런던에 설립된 토인비 홀로 YMCA, YWCA 등도 인보관 운동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학습평가
1. 기능주의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정답:X
2. 엘리자베스 구빈법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1601년에 지정된 법으로 사회복지의 효시로 불린다.
② 일할 수 있는 빈곤자와 일할 수 없는 빈곤자, 요보호 아동으로 분류하였다.
③왕권 강화 및 교회로부터의 수도원 수용이 역사적 배경이다.
④빈곤자에 대한 구제의 책임을 민간에 돌렸다.
정답:④
3. 다음 중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인보관 운동은 중복 구제를 피하고 효율적인 구제활동이 조절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②자선 조직 협회는 빈곤지역의 중심부에 사회복지관을 세워 빈곤자들과 함께 공동생활을 하였다.
③인보관 운동은 개별사회사업의 탄생의 시작이 되었다.
④최초의 인보관은 1884년 런던에 설립된 토인비 홀이다.
정답: ④
(사회복지실천론 2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은 빈민에 대한 국가의 구제책임을 명기한 최초의 공적 복지 법률로 이후 1800년대에 자선조직협회는 중복 구제를 피하고 효율적인 구제활동의 조절을 목적으로 조직되었으며, 인보관은 빈곤지역의 중심부에 사회복지관을 세워 빈곤자들과 함께 공동생활을 한 사회개량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2.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으로 개별사회사업이 발전하게 되었고,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교육의 등장을 가져오게 하였으며, 인 보관 운동은 집단 사회사업의 기초가 되었다.
3. 집단주의는 정신분석학을 기초로 하였으며, 기계론적이며 결정론적 관점을 가지나 기능주의는 과거보다 현재에 초점을 두며 개인의 성장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었다.
4.1950년대 이후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인 면에서나 전문직 활동의 측면에서 통합을 추구하게 되었고 1970년대에는 PIE(환경 속 인간) 개념을 토대로 통합 방법론이 대두되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 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실천론#서구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자선조직협회#인보관
'사회복지사 2급 > 사회복지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론(3주차2차시)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1) | 2022.09.30 |
---|---|
사회복지실천론(3주차1차시)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 2022.09.30 |
사회복지실천론(2주차2차시)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 2022.09.30 |
사회복지실천론(1주차2차시)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0) | 2022.09.30 |
사회복지실천론(1주차1차시)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