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3주차2차시)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오늘의 미션)

Q. 임신 후반 상태인 17세 소녀가 사회복지사에게 낙태를 하겠다며 부모님에게 알리지 말고 도와달라고 상담 요청이 왔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A.< 전문가 의견>

이 경우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밀 보장과 개인 행복추구권이 달려있지만 또한 생명에 위험을 내포하는 부분이 겹쳐 윤리적 딜레마를 겪게 된다.

낙태에 대한 자기 결정권과 개인의 행복추구권 그리고 비밀 보장의 원칙을 지켜야 하지만 그보다 앞서 고려할 부분은 낙태로 인한 클라이언트 생명에의 위험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부모에게 고지하고 안전한 의료적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습평가

1. 사회복지사의 자시 인식 증진시키기를 위한 방법 중의 하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슈퍼비전을 받는 것이다.

정답:O

2.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유형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클라이언트를 비롯한 각기 다은 주제들 간의 가치관의 차이

②다양한 가치들 간의 충돌

③사회 복지사의 다중성

④전문가 윤리강령의 모호함

정답:③

3. 모순적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6가지 지침이 아닌 것은?

①생명 우선 원칙

②개인의 행복추구권

③전문가 집단 결정의 원칙

④사회 복지사의 자기결정권

정답:④

(사회복지실천론 3주 차 2차 시 학습 정리)

1.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복잡한 윤리적 딜레마를 겪을 수 있다.

그 사례로는 클라이언트를 비롯한 각기 다른 주체들 간의 가치관의 차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지식과 가치, 윤리의 경계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혼용됨, 클라이언트의 다중성,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다중성, 전문가 윤리강령의 모호함, 윤리적 의무와 책무의 상호 충돌과 윤리적 원칙주의, 윤리적 상황 주의 등에 따라 의사결정이 가능함, 다양한 가치들 간의 충돌, 분배에 있어 공정한 분배가 무엇인가에 대한 모호한 의견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들 수 있다.

2. 윤리적 딜레마의 해결책으로는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이 중요한데 사회복지사에게 가장 중요한 도구는 자기 자신임을 이해하고, 자신의 가치, 신념, 태도, 행동 습관 등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와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성찰적인 자세로 지속적으로 자기를 이해하려고 하고 자기를 탐구하려는 행동으로 자기인식을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자기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슈퍼비전 받기, 인간 발달, 인간행동에 대해 학습하기, 자신을 이해하기 등이 필요하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실천론#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딜레마 #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의사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