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 사회복지실천의 목적은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라고 한다면 맞는 것일까?
A.<전문가 의견>
사회복지실천의 목적은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라기보다는 개인의 문제 해결 및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클라이언트를 자원과 서비스, 기회를 제공하는 체계와 연결시켜 효과적이고 인도적인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학습평가
1.'환경 속의 인간'의 개념을 사용하면 개인의 성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답:X
2. 다음 중 사회복지실천 목적과 관계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사람들에게 필요한 자원 연계
②정책 개발
③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개입
④개인의 문제를 알아서 직접 해결해 줌
정답: ④
3. 미국 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실천의 목표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인간의 능력 향상
②인간의 모든 욕구 해결
③자원과 서비스 체계의 운영과 효과적 증진
④사회 정책의 개발
정답:②
(사회복지 실천론 1주차 1차시 학습 정리)
1. 사회복지실천의 목적으로는 핀커스와 미나 한은 개인의 문제 해결 및 대처능력의 향상, 클라이언트를 지역사회 자원과 서비스 및 기회를 제공해 주는 체계와 연결시켜 주는 것. 이러한 체계들이 효과적이고 인도적이고 운영되도록 장려하고 촉진하는 것, 사회정책을 개발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미국 사회복지사 협회는 모든 사람의 삶의 질로 향상시키는 것, 사회 구성원과 사회체계 사이의 유익한 상호작용을 회복 또는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을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으로 들었다.
2. 사회복지실천의 구체적인 목표로 미국 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인간의 능력 향상, 인간의 체계의 연결, 자원과 서비스 체계의 운영과 효과성 증진, 사회 정책의 개발과 개선을 제시하였다.
또한 Hepworth와 Larsen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역량을 확대하고, 문제해결능력과 대처능력을 증진시키도록 도우며, 사람들이 자원을 획득하도록 돕고, 사람들의 욕구에 적절히 반응하는 조직이 될 수 있도록 감시하며, 개인과 개인 주변 환경에 속한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조직과 제도 간의 상호 관계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 정책 및 환경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 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 > 사회복지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론(3주차2차시)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1) | 2022.09.30 |
---|---|
사회복지실천론(3주차1차시)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 2022.09.30 |
사회복지실천론(2주차2차시)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 2022.09.30 |
사회복지실천론(2주차1차시)서구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 2022.09.30 |
사회복지실천론(1주차1차시)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