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미션)
Q.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에서 '감정이입'이란 무엇인가요?
A.<전문가 의견>
치료자가 면담 도중 개입할 때 가족이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감적 이해를 의미한다.
치료자는 가족이 그들의 경험에 몰입할 수 있도록 가족을 안심시키면서 직면을 시도한다.
♡학습평가
1.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가족원이 마음을 열도록 돕기 위해 감정이입적 이해를 나타낼 때 개입은 이루어진다.
② 감춰지고 혼란된 경험을 분명히 하기 위해 해석을 시도할 때 개입은 이루어진다.
③치료상의 변화는 분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해석을 중시한다.
④가장 효과적인 해석은 치료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환자 스스로가 깨닫게 하는 것이다.
정답:④
2.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자는 비지시적 치료기법을 중시하며, 그 대표적 인물은 애커만이다.
정답:x
3. 대상관계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다른 사람이 자신이 가진 나쁜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기도 한다.
②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다른 인간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그 관계 속에서 발달한다.
③인간은 과거의 초기경험에 의하여 형성된 개인의 이미지를 토대로 현재 인간관계를 맺어 나간다.
④유아는 실제적인 경험을 통하여 나쁜 어머니의 이미지를 만들어 간다.
정답:④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 10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정신역동적 가족치료는 1980년대 이르러 정신분석이 개인 중심에서 관계 중심인 대상관계이론으로 이행하면서 새롭게 주목받게 된다.
2.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자가 추구하는 변화는 개체화 또는 분화이며 원 가족에서 분리되어 성장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임. 목표는 가족원을 무의식적 제약에서 벗어나게 하여 과거의 무의식적 이미지보다는 현실에 기초하여 가족이 건강한 개인으로서 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3. 치료자는 에커만을 제외하고는 주로 비지시적 기법을 사용하였고, 경청, 감정이입, 해석, 분석적 중립성의 유지란 네 가지 기본적 기법이 사용된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 > 가족상담및 가족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상담및 가족치료(11주차1차시)전략적 가족치료1 (0) | 2022.09.27 |
---|---|
가족상담및 가족치료(10주차2차시)인지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0) | 2022.09.27 |
가족상담및 가족치료(9주차2차시)구조적 가족치료2 (0) | 2022.09.27 |
가족상담및 가족치료(9주차1차시)구조적 가족치료1 (0) | 2022.09.26 |
가족상담및 가족치료(7주차2차시)경험적 가족치료2 (0)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