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가족상담및 가족치료(9주차1차시)구조적 가족치료1

 

(오늘의 미션)

 

Q. 가족구조란 무엇인가요?

A.<전문가 의견>

가족구조란 가족 구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하나의 보이지 않는 기능적 요구이다. 반복적, 체계화되어 있어서 예측할 수 있는 가족의 행동양식이다.

♡학습평가

1. 다음의 하위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개인은 가족의 하위체계에 속한다.

②부부 하위체계의 주요 과업은 협상, 조정이다

③건강한 가족에서는 부모 하위체계가 부부 하위체계가 분리되지 않고 존재한다.

④부모 하위체계의 기능은 자녀의 연령, 발달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③

2. 집의 물리적 구조인 '층'은 가족의 상호작용 구조인 하위체계의 개념으로 비유할 수 있다.

정답:x

3.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경계선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경직된 경계선은 '너도 나, 나도 너'란 태도로 서로를 대한다.

②명확한 경계의 구성원은 집단의식과 함께 '나 자신임'을 감정을 잃지 않는다.

③가족 경계선은 가족 원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없이도 르 범주가 정해질 수 있다

④가족의 상황과는 별개로 명확한 경계선이 가장 바람직하다.

정답:②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 9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구조적 가족치료에서는 문제나 증상은 역기능적 가족구조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2. 가족 구조는 가족원 간 상호작용을 조직하기 위해 일련의 기대되는 요구로서 경계선, 하위체계, 위계구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3. 역기능적 가족은 경계선이 분명하지 않고 경직되거나 지나치게 밀착된 가족, 각 하위체계가 제 기능을 다하지 않는 가족, 가족의 위계구조가 적절히 확립되지 못한 가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구조적 가족치료#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가족구조#구조적 가족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