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가족상담및 가족치료(11주차1차시)전략적 가족치료1

 

(오늘의 미션)

Q. 전략적 가족치료란 무엇인가요?

A.<전문가 의견>

전략적 가족치료란 가족체계 내에서 발생하는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내용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치료적 접근이다.

♡학습평가

1.다음중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으로 부적절신 것은?

①모든 행동은 어느수준에서 의사소통이다.

②모든 의사소통은 내용과 지시의 측면을 가진다

③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관계는 대칭적이거나 보완적 관계다.

④하위의사소통은 의사소통에 대한 의사소통이다.

정답:④

2.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

①가족항상성:가족체계는 끈임없이 변화하는 가족 내외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기능

②이중구속:발신자가 의사전달 할때 의사소통의 수준이 일치되지 않는 메시지를 보내는 역기능적 의사소통 형태

③피드백 고리:변화에 저항하여 가족을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하는 정적 피드백 고리와 현재 상태를 벗어나 변화를 시도하는 피드백 고리

④가족규칙:시간에 걸쳐 가족행동을 제한하는 관계상의 합의로서 가족항상성을 지속하는 기능

정답:③

3.헤일리의 전략적 모델을 구조주의적 성향을 잘 드러내는 개념을 권력과 통제이다.

정답:X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 11주 차 1차시 학습치료)

1. 전략적 모델은 MRI 상호작용 모델과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 밀란의 체계적 모델 등으로 분류된다.

2.MRI 모델과 헤일리의 모델은 베이트슨의 순환적 인식론과 에릭슨의 전략적 최면기법에 영향을 받아 가족의 상호작용 유형과 문제 증상에 대한 역설적 개입에 초점을 둠. 반면 밀란 모델은 베이트슨의 2차 사이버네틱스 개념을 적극적으로 임상에 도입하여 가족 상호작용보다 신념체계에 더 관심을 가졌고 이는 가족치료 분야의 포스트모더니즘 도래에 영향을 미친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전략적 가족치료#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전략적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