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가족상담및 가족치료

가족상담및 가족치료(12주차2차시)해결 중심 단계치료2

 
 

(오늘의 미션)

Q. 해결 중심 접근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A.<전문가 의견>

치료가 효과가 있어 단기로 끝나므로 경제적이다. 해결 중심 모델은 절망적인 내담자가 예외와 희망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내담자와의 관계 형성에 주목한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으므로 비록 작더라도 긍정적인 변화가 시작되면 큰 변화도 가능하다. 목표 설정을 잘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 달성이 용이하게 한다. 해결 중심 모델과 기법의 설명이 간단, 명료하여 치료자들이 배우기 쉽다. 메시지를 통한 칭찬과 과제 부여가 상담의 효과를 증진시킨다.

♡학습평가

1. 치료자-내담자 관계 유형에 따른 과제가 절절히 연결된 것은?

①방문형-관찰 과제

②불평형-과제 없음

③고객형-행동과제

④잠재적 고객형-생각과 제

정답:③

2. 해결 중심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기법이기 때문에 치료자의 태도나 내담자와의 교류는 상대적으로 덜 신경 쓸 수 있다.

정답:X

3. 해결 중심 단기 치료사가 지녀할 할 알지 못함을 자세에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 기술의 내용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경청

②치료자의 자기개방

③과정에 대한 주목

④폐쇄형 질문

정답:④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12주 차 2차시 학습 정리)

1. 해결 중심 치료의 첫 회 상담에서 치료자는 내담자와 관계를 형성하고 해결 지향적 질문을 통해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다. 치료자-내담자의 관계 유형에는 방문형, 불평형, 고객형이 있다.

2. 목표 설정을 위한 해결 지향적 질문에는 상담 전변화에 관한 질문, 예외 질문, 기적 질문, 척도 질문, 대처 질문, 관계성 질문, 악몽 질문, 간접적인 칭찬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문은 목표 설정과 달성에 도움이 된다. 1차 상담이 끝나면 치료자는 상담실을 떠나 메시지를 작성한 뒤 다시 상담실로 들어가 칭찬, 연결분, 관제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내담자에게 전달하면서 상담을 마친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해결중심단기치료#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해결중심치료#해결중심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