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새로운 가족 유형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A.<전문가 의견>
새로운 가족에는 다문화 가족에도 속하지 않는 특수한 가족 형태를 볼 수 있다. 외국인이 아닌 우리 동포이고,남한 사회에 동화되어야만 하는 대상이며,남한과 대치하고 있는 '북한 출신'이기 때문에 외국인보다 더 외계인화 하는 경향, 북한과 남한이 문화,언어,생활양식,가치,규범등 이질화 특성을 갖고 있는 북한 이탈 주민 가족과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동성애 가족 등을 생각 해 볼수 있다.
♡학습평가
1.북한 이탈 주민이 다른 문화 가족과는 차별되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외국인인 아닌 우리 동포
②북한과 남한의 문화, 언어,생활양식,가치,규범등 동질화
③남한 사회에 동화되어야만 하는 대상
④'북한 출신'이기 때문에 외국인보다 더 외계인화 하는 경향
정답:②
2.북한 이탈 주민 가족이 남한에서의 정착을 경험할때 겪는 문제가 아닌 것은?
①경제적 문제
②교육문제
③인종차별
④건강,의료문제,교육문제,정신건강문제
정답:③
3.한국 사회에서 동성애 가족으로 살아가기 어려운 점이 아닌 것은?
①가족을 해체하는 정상적인 관계로 차별이 없음
②경제적 독립이 어려움
③공적인 공간에서 배제
④삶의 모델 부재 어려운 직면
정답:①
(가족 복지론 14주차 2차시 학습정리)
1.북한 이탈주민은 점차 '더 나은 미래', '자기 발전을 통한 질 높은 삶','남한 대중 문화 접촉으로 인한 남한 사회에 대한 막연한 동경','좋은 교육 환경',등 정제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이유와 동기를 가지고 이탈해 온다.
2.북한 이탈 주민 가족은 남한에서의 정착시 경제적 문제,건강.의료문제,교육문제,정신건강문제,사회문화적 차이등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직면하게 된다.
3.북한 이탈 주민 가족을 지원할때, 다문화 가족과는 다른 특수한 위치에 있음을 이해하고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4.동성애 커플의 가족 실천은 결혼이라는 법제도적 기반을 가진 이성애 가족에 비해 동성애 커플의 가족 실천은 가족의 모델이 없기 때문에 일종의 공백상태에서 끊임없이 역동과 협상을 통해 만들어 진다.
5.동성애 가족 관계 특징은 주 생계부양자가 남성이고 보조 생계부양자 혹은 가사 노동전담자가 여성인 성역할 기대가 존재하지 않고, 가사노동과 경제적 자원의 운영을 개별적 협상하는 실용주의적 실천을 해 나가며, 원가족과 친족과의 관계에서도 선별적으로 커밍 아웃을 조절하면서 가족 관계 인정받는 것과 가족 생활을 안전하게 지키는 것을 선택한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론#새로운 가족이 온다#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새로운 가족#새로운가족유형
'사회복지사 2급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복지론(14주차1차시)한부모가족 (0) | 2022.11.02 |
---|---|
가족복지론(13주차2차시)다문화가족2 (1) | 2022.11.02 |
가족복지론(13주차1차시)다문화가족1 (0) | 2022.11.02 |
가족복지론(12주차2차시)폭력가족2 (0) | 2022.11.02 |
가족복지론(12주차1차시)폭력가족1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