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 폭력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A.<전문가 의견>
폭력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는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인 '강점으로 치유하기'가 있다. 그리고 가정폭력 피해 여성에게 현실적이고 긴박한 문제를 파악하고, 절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심리.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고, 가정 폭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대처 방법을 모색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쉼터 중심으로 집단 프로그램이 있다.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등도 있다.
♡학습평가
1.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가정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단점으로 치유하기'
②가정 폭력 피해 여성에게 현실적이고 긴박한 문제를 파악하기
③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심리.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기
④가정 폭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대처 방법을 모색하기
정답:①
2. 가정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두려움과 불안
②공격성
③가해자와 동맹
④데이트 헌신
정답:④
3. 가정폭력과 피해 여성이 자립 시 네 가지 방법이 아닌 것은?
①환경적 요인
②전통적 성 역할, 자기 정체성, 폭력과 학대에 대한 인식, 가치관 등
③신체적, 심리적 결과와 후유증, 무기력, 고립 등
④아동기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및 높은 자아존중감의 경험
정답:④
(가족복지론 12주 차 2차시 학습 정리)
1. 가정폭력 피해자가 외부의 도움이나 서비스를 요청하는 데는 장애가 많고 가정폭력은 널리 만연되어 있지만 숨겨져 있다는 점에서 쉼터나 가정 폭력 상담소 실무자, 사회복지 실무자 역시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을 접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즉 클라이언트는 가정폭력 때문에 상담을 받으러 오는 것이 아니라, 아동 문제나, 부부문제, 이성문제 등 다른 문제로 실무자를 찾을 가능성이 크다.
2. 학대적 관계를 떠나서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많은 여성과 아동에게 안전성과 지지를 제공하는 핵심적 전달 체계로 쉼터 중심 서비스가 있다. 또한 쉼터 이용자는 다른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폭력을 경험하고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크다.
3, 사후 서비스로 퇴소 후에도 가정 폭력 피해자 여성과 아동에게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데, 퇴소 후 귀가하는 여성의 경우와 퇴소 후 독립을 원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론#폭력가족 #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폭력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사회복지사 2급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복지론(13주차2차시)다문화가족2 (1) | 2022.11.02 |
---|---|
가족복지론(13주차1차시)다문화가족1 (0) | 2022.11.02 |
가족복지론(12주차1차시)폭력가족1 (0) | 2022.11.02 |
가족복지론(11주차2차시)아동학대 가족2 (0) | 2022.11.02 |
가족복지론(11주차1차시)아동학대 가족1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