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 치매란 무엇이며, 어떠한 가족을 치매가족이라고 할까요?
A.<전문가 의견>
치매란 뇌에 발생한 여러 가지 질환으로 인하여 인지 기능(기억, 추리, 판단력, 시간, 장소, 사람을 인식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상태이다. 이렇게 가족 중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가족을 치매가족이라 한다.
♡학습평가
1. 치매 증상에 대한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기억력 저하
②언어 능력 저하
③지남력 강화
④실행 능력 저하
정답:③
2. 치매노인 가족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치매 위험은 고령자일수록 더 높은 경향이 있다
②치매는 반드시 노인들에게만 해당되는 질환이다.
③초고령 사회로 나아갈수록 치매노인의 비율은 급격히 높아질 수밖에 없다.
④치매는 당사자보다 치매 가족에게 더 고통이 간다.
정답:②
3. 지남력 저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시간 개념이 떨어져 날짜, 요일, 시간을 자주 착각하고 실수한다.
② 심하면 낮과 밤을 구별하지 못한다.
③오랫동안 지내던 집도 자신의 집이 아니라고 부인한다.
④타인의 말을 이해하지 못해 엉뚱한 대답을 한다
정답:④
(가족복지론 10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치매란 사전적 용어로 '미친','어리석은'의 뜻을 포함하고 있으며,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정상적이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뇌에 발생한 여러 가지 질환으로 인하여 인지 기능(기억, 추리, 판단력, 시간, 장소, 사람을 인식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2. 치매의 유형에는 노인성 치매(알츠 하이머 병), 혈관성치매(뇌졸중), 기타 퇴행성 질환(파킨슨질환), 기타 우울증 및 뇌염 등이 있다.
3. 치매의 임상적 특성에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증상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특징이 있다.
4. 치매는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여 치매 지전을 지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치매의 증상에는 인지장애, 언어능력 장애, 시공간 장애, 실행 지능 저하, 우울증, 정신증 특성이 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복지론(11주차1차시)아동학대 가족1 (0) | 2022.11.02 |
---|---|
가족복지론(10주차2차시)치매노인 가족2 (0) | 2022.11.02 |
가족복지론(9주차2차시)재혼가족2 (0) | 2022.11.02 |
가족복지론(9주차1차시)재혼가족1 (0) | 2022.11.01 |
가족복지론(7주차2차시)이혼가족2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