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 어떠한 가족을 재혼가족이라 하며, 재혼 가족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A.<전문가 의견>
재혼가족이란 파트너 한쪽 혹은 양쪽이 이전에 결혼했다가 이혼했거나, 사별한 두 파트너가 결혼(혹은 한 가구에서 함께 하는 것)으로 형성된 가족을 말하며, 재혼 가족의 문제점으로는 계부모 가정에서 자녀, 재정 문제, 아동보호 역할과 같은 영역에서 문제 발생, 가족과 친족의 맥락에서 재혼가족의 갈등, 부부관계의 취약성, 계부모 자녀 관계의 문제(모성의 저항 위험, 계부의 위축 행동, 성급한 접근, 계자녀의 저항) 등 재혼가족에 대한 이해 부족이 있다.
♡학습평가
1. 재혼가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재혼은 초혼의 경험으로 인해 이혼율이 적다
②이혼율을 감안할 때 재혼율도 상당 수준 유지될 것을 예측된다.
③재혼에 대한 태도는 비교적 허용적이었다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④재혼 가족은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인다.
정답:①
2. 재혼 가족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①계부모가족에서 자녀 간의 문제
②재정적 문제
③ 지나친 가족의 관심
④아동 보호 역할 문제 발생
정답:③
3. 가족과 친족의 맥락에서 문제점이 아닌 것은?
①재혼가족의 갈등
②부부관계의 취약성
③계부모 자녀 관계의 문제
④재혼가족에 대한 이해
정답:④
(가족복지론 9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재혼 가족이란 파트너 한쪽 혹은 양쪽이 이전에 결혼했다가 이혼했거나 사별한 두 파트너가 결혼(혹은 한 가구에서 함께 사는 것)으로 형성된 가족을 말한다.
2. 재혼 가족의 특성에는 구조적, 경계의 역할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3. 재혼 가족의 환상에는 핵가족의 신화, 보상 신화, 인스턴트 사랑에 대한 기대, 신데렐라에 대한 환상이 있다.
4. 재혼 가족의 문제점으로는 계부모 가족에서 자녀, 재정 문제, 아동 보호 역할과 같은 영역에서 문제 발생, 가족과 친족의 맥락에서 재혼 가족의 갈등, 부부관계의 취약성, 계부모 자녀의 문제(모성의 저항 위험, 계부의 위축 행동, 성급한 접근, 계자녀의 저항) 등 재혼가족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다.
5. 부정적인 사회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재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더욱 큰 것으로 보인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론#재혼가족 #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재혼가족의 문제점
'사회복지사 2급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복지론(10주차1차시)치매노인가족1 (0) | 2022.11.02 |
---|---|
가족복지론(9주차2차시)재혼가족2 (0) | 2022.11.02 |
가족복지론(7주차2차시)이혼가족2 (0) | 2022.11.01 |
가족복지론(7주차1차시)이혼가족1 (0) | 2022.11.01 |
가족복지론(6주차2차시)노인학대가족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