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2주 차 2차 시) <가설과 조작적 정의>사회복지조사에서 가설이란 무엇일까요?

떼떼냥꼬 2023. 1. 12. 00:07

(오늘의 미션)

Q. 사회복지조사에서 가설이란 무엇일까요?

A.<전문가 의견>

가설이란 어떤 사실의 원인을 설명하거나 어떤 이론체계를 연역하기 위해서 가정적으로 설정한 것이다. 즉, 검증되지 않은 2개 이상의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해 놓은 진술 또는 문장이다.

♡학습평가

1. 가설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함

② 다른 이론들과 연관이 있어야 함

③두 가지 변수의 상관관계로 서술되어야 함

④여러 개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의 관계를 기술해야 함

정답:④

2. '성별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업무량은 차이가 없을 것이다.'라는 가성의 유형 중 어디에 해당하는 가?

①연구 가설

②일치가설

③영가설

④대립가설

정답:③

3. 가설은 입증 가능하며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정답:O

(사회복지조사론 2주 차 2차 시 학습 정리)

1. 가설은 검증되지 않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해 놓은 문장이다.

2. 가설의 구조는 '만일~하면, ~할 것이다`의 형태를 가진다.

3. 가설 구성의 과정은 연구의 성과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므로 가설의 과정을 거쳐 구성하는 것이 좋다.

4. 좋은 가설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이론 및 논문의 탐독, 연구 주제와 관련된 현실 분석, 그리고 개인의 독창적인 노력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5. 가설의 종류는 영가설과 연구 가설이 있다.

영가설은 '두 개 이상의 집단 또는 두 변수 간의 차이가 없다.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고 가설을 세우는 것이며, 연구 가설은 '두 개 이상의 모집단 또는 변수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가설을 세우는 것이다.

6. 조작적 정의는 언구 주제들을 직접 조사, 측정 가능할 수 있도록 대체 개념 또는 지수로 정립하는 것이다. 정의에는 실질적 정의, 명목적 정의, 조작적 정의가 있다.

7. 이론은 가설이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경험적인 검증을 통해 사실과 부합되는 것으로 밝혀지면 이론이 되는 것이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조사에서 가설이란 무엇일까요#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사회복지조사#가설의 구조#가설의 구성과정#가설의 종류#조작적 정의#가설과 조작적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