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2주 차 1차시)<개념과 변수>사회복지조사에서 '개념'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떼떼냥꼬 2023. 1. 12. 00:05

(오늘의 미션)

Q. 사회복지조사에서 '개념'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A.<전문가 의견>

사회복지조사에서의 개념은 일정하게 관찰된 사실들에 대한 추상적인 표현이다. 관찰된 현상의 측정한 측정만을 표현하는 추상적인 관념을 용어 또는 기호로 표현한다.

'직원들의 사기가 반감되었다'라는 사실에서 보면 이 사실은 '직원','사기','반감'이라는 개념으로 구성되고 세 가지 개념들이 합하여 하나의 사실을 이루게 된다.

♡학습평가

1. 변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측정 가능하게 하는 값이다.

②'개념'을 경험적 차원으로 표현한 것이다.

③고정된 값을 갖는다.

④상호 배타적인 범주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③

2. 사회복지 정책평가에 있어서 평가 대상 프로그램과 성과 간에 실질적인 상관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 정책 평가자가 가장 유의해야 할 변수는 무엇인가?

①외생 변수

②매개 변수

③독립 변수

④억압 변수

정답:①

3.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가 가식적 연관관계처럼 보이게 하는 변수를 외생변수라고 한다.

정답:X

(사회복지조사론 2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개념에 대한 의의화 기능, 개념의 구비 조건인 한정성, 통일성, 개념의 추상화 정도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2. 정확한 개념 전달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과학의 속기법, 하나의 용어가 둘 이상의 사실을 의미하는 경우, 우리가 사물을 관찰할 때 기준으로 삼는 준거틀, 시대의 변화나 장소에 따른 용어의 변화, 실제와의 오류, 표준화된 용어의 결핍 등을 살펴보았다.

3. 변수의 속성에 따라 명목 변수, 서열 변수, 등 간 변수, 비율 변수로 구분된다.

4. 변수의 기능에 따라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 외생변수, 억압 변수 구분된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조사에서 '개념'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사회복지조사#개념과변수#사회복지조사의개념#변수의 속성#변수의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