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2급/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1주 차 2차 시)<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지역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장애인 거주시설을 짓고, 중증 장애인 여러 명이 단체로 합숙생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떼떼냥꼬 2023. 1. 11. 23:54

(오늘의 미션)

 

Q. 지역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장애인 거주시설을 짓고, 중증 장애인 여러 명이 단체로 합숙생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A.<전문가 의견>

탈 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는 장애인, 노인 등에 대한 전통적인 보호방식인 지역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규모의 생활(거주) 시설 보호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중심으로 보호 방식을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탈 시설화 정책이 강하게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학습평가

1. 시설 중심 보호(Institutional Care)의 반대개념은?

①지역 사회복지

②지역 사회개발

③지역 사회 보호

④지역 사회조직

정답:③

2. 보호가 필요한 클라 인트가 일반인이 살아가는 보통의 삶과 유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은?

①정상화

②사회 통합

③ 탈 시설화

④주민 참여

정답:①

3. 사회의 전반적인 불평등을 감소시키는 것과 가장 관련된 개념은?

①정상화

② 탈 시설화

③주민 참여

④사회 통합

정답:④

(지역복지론 1주 차 2차시 학습 정리)

1. 광의의 지역 사회 복지는 지역사회의 복지 향상을 위해 전문 또는 비전문 인력이 지역사회 수준에 개입하여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각종 제도에 영향을 주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예방 및 해결하고자 하는 일체의 사회적 노력을 의미한다.

2. 탈 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는 장애나,노인등에 대한 전통적인 보호방식인 지역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규모의 생활(거주) 시설 보호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중심으로 보호 방식을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정상(Normalization)는 1950년대 북유럽에서 시작된 이념으로서 지적장애인의 생활을 가능한 한 정상적인 생활에 가깝도록 하자는 것이다.

4. 사회통합은 계층 간의 격차를 줄이고 사회의 전반적인 불평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 삶의 질을 제고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5. 주민참여는 주민의 욕구와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주민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6. 지역사회복지의 특성:예방성, 통합성과 포괄성, 연대성, 지역성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장애인 거주시설을 짓고, 중증 장애인 여러 명이 단체로 합숙생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까#광의의 지역사회복지#탈시설화#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사회복지#지역사회#지역사회복지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