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2급/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1주차1차시)<장애의 개념>장애의 사전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세요.

떼떼냥꼬 2023. 1. 5. 21:33

(오늘의 미션)

Q. 장애의 사전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세요.

A.<전문가의 의견>

장애에 대한 우리나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장애라 한다.

♡학습평가

1. 다음 중 장애(Disability)의 개념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장애는 장애의 원인과 특성, 그 나라의 사회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여건과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②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을 의미한다.

③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④ 다른 사람들이 보통 행하는 기능에 대한 개인의 능력을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신체적 손상만을 의미한다.

정답:④

2. 장애의 기본 현상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가치에 따라 시대마다 달라질 수 있다.

정답: O

3. 다음의 영화 제목 중 장애인의 복지와 관련이 없는 영화는?

①아이엠 샘

②숲속으로

③말아톤

④레인맨

정답:②

(장애인 복지론 1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최근 들어 장애인을 '다른 능력을 가진 사람(differently abled person)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대중 매체에서 장애인을 필요 이상으로 도움이 필요한 '불쌍한 사람'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2. 알코올 중독(Alcohol use disorder)은 과거에는 장애로 해석하지 않았지만 현재의 시대성을 포함하여 장애의 범주에 포함하고 있다.

3. 우리나라의 장애범주와 유형: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장애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ICIDH)는 장애를 손상, 기능장애, 사회적 불리로 구분

4. 장애의 유형:지체장애, 뇌 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 장애, 호흡기 장애, 장루 장애, 요루 장애, 뇌전증 장애, 지적장애, 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장애인복지론#장애의 개념#장애의 사전적 의미##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아동복지#장애의 유형#우리나라 장애범주와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