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개론(5주차2차시)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오늘의 미션)
Q. 사회복지사는 상담가인가, 사회개혁가인가, 아니면 국가의 정책 시행자인가?
A.(전문가 의견)
사회복지사의 실천적 역할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클라이언트의 심리 내면을 다루는 상담가의 역할. 사회구조와 환경을 적극적으로 바꾸려는 사회개혁가의 역할. 국가의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는 역할 모두를 만날 수 있다.
♡학습평가
1.1970년대에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에 대하여 논쟁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학자는?
①피셔
②플렉스나
③오토 랑크
④메리 리치먼드
정답:①
2.1930년대 미국의 경제공황은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심리 내면에 대하여 강조하게 된 시대적 배경이다.
정답: X
3. 사회복지의 3대 실천방법론은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인이다,
정답:O
(사회복지학 개론 5주 차 2차시 학습 정리)
1. 유급 사회복지사의 등장
:1800년대 후반부터 자선조직협회나 인보관에서 유급 직원으로서 사회복지사를 채용하기 시작하였다.
2. 전문화의 노력
:1898년 뉴욕 자선조직협회가 최초의 사회복지교육, 훈련과정을 6주 단기과정으로 개설하였고, 1919년에는 정규교육과정으로서 사회복지학교가 17개 설립되었다.
3.3대 방법론의 발전
:1940년대에 이르러 3대 실천방법론은 개별사회사업(Case Work), 집단사회사업(Group Work), 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4. 진단 주의와 기능주의 논쟁
:1930년대 경제공황과 함께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려는 접근이 강해지면서 기존의 진단 주의 학파에 반대하는 기능주의 학파가 등장하게 되었다.
5.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통합적 접근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재입하고 실천함에 있어서 각각의 분리된 방법이 아니라 공통된 원리나 개념을 기반하여 실천 방법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6. 효과성 논쟁
:1973년 피셔(Fisher)는 "개별사회사업은 효과적인가?"라는 논문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7. 다양한 실천 모델의 등장
:1970년대 이후 일반 체계이론, 생태 체계이론, 과제 중심 모델, 역량 강화이론, 사례관리 모델 등 다양한 접근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학 개론#사회복지실천의 역사#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사회복지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