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론(11주차1차시)공공부조정책1

 
 

(오늘의 미션)

Q. 사회복지정책에서 공공부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며, 사회복지 정책에서 공공부조는 어떠한 부분을 높이면 질 높은 사회 복지 서비스로 실천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볼까요?

A.<전문가 의견>

사회복지 정책에서 공공부조는 사회보험과 더불어 국민의 최저생활 보장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생활능력을 상실한 자들에 대해서 국가가 최저 생활을 보장한다. 또한 자립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이른바 궁핍에 대한 최후의 제도적인 대처라 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정책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들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학습평가

1. 고용보험은 실직 근로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 사업 외에 산업 구조조정을 촉진 및 실업 예방, 고용 촉진 등을 위한 고용안정사업, 근로자의 생애 직업 능력 개발을 위한 직업 능력 개발사업을 상호 연계하여 실시하는 사회보장제도임과 동시에 예방적.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다.

정답:O

2. 다음 중 공공 부조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무차별 평등의 원리

②거택 보호 원칙

③보충성의 원리

④자립성장의 원리

정답:②

3. 다음 중 급여의 기본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최저 생활 보장의 원칙

②보충 급여의 원칙

③현금 부조의 원칙

④자립지원의 원칙

정답;③

(사회복지학 개론 11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공공부조의 의의 및 개념

1) 사회보험과 더불어 국민의 최저 생활보장을 목적으로 함

2) 특히 생활능력을 상실한 자들에 대해서 국가가 최저 생활을 보장함

3) 자립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이른바 궁핍에 대한 최후의 제도적 대처

2. 공공부조 원리로서 6가지

1) 생존권 보장의 원리

2) 국가책임의 원리

3) 최저 생활보호의 원리

4) 무차별 평등의 원리

5) 보충성의 원리

6) 자립성장의 원리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정책론#공공부조정책#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공공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