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미션)
Q.스캘로그램(scalogram)이란 무엇인가요?
A.<전문가 의견>
스캠 로그램이란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고자 할 때 검사 문항 혹은 진술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에 기초하여 일련의 문항과 피험자를 동시에 서열 하는 것이다.
♡학습평가
1. 척도를 구성할 때 고려해애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척도의 범주는 다른 범주와의 관계 속에서 상호 배타적이어야 한다
②응답 범주들이 응답 가능한 상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③하나의 변수에 대하여 여러 수준의 척도 구성이 가능할 때 되도록 낮은 수준의 척도로 구성한다.
④응답 범주들이 논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③
2. 다음 중 리커트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전체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선정하기가 쉽지 않다.
②평가자의 주관적 개입을 배제할 수 없다.
③일관성이 있어 신뢰도가 높다.
④서열적 측정치이다.
정답:②
3. 척도의 범주를 구성할때는 상호 배타적이어야 하며, 항목 간에 논리적 연관성이 있어야 하고 포괄적으로 구성하여 제외되는 범주의 응답이 없어야 한다.
정답:O
(사회복지조사론 4주 차 2차시 학습 정리)
1. 명목 척도를 구성할 때는 척도 구성의 원칙 중 응답 범주 간 상호 배타성, 포괄성, 논리적 연관성 원칙을 갖추면 된다. 명목 척도는 조사 대상을 단순히 어떤 집단, 또는 범주로 분류할 때 이용된다.
2. 서열 척도 중 평정 척도,리커트 척도, 거트만 척도(누적 척도) 룰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3. 등간 척도 및 비율척도의 구성에서 서스톤의 유사동간법의 구성 사례 및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조사론#스캘로그램(scalogram)이란 무엇인가요#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척도(scale)#명목척도#서열척도#등간척도#리커트척도#스캘로그램
'사회복지사 2급 > 사회복지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조사론(4주 차 1차시)<측정>사회 현상을 측정하고자 할 때, 척도를 만들어 사용하는 이점은 무엇일까? (0) | 2023.01.29 |
---|---|
사회복지조사론(3주 차 2차 시)<사회복지조사의 절차>사회조사의 과학적 연구 수행 과정은 어떤 절차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0) | 2023.01.29 |
사회복지조사론(3주 차 1차시)<사회복지조사의 유형>사회조사의 형태는 다양하다. 사회조사의 형태는 무엇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나? (0) | 2023.01.29 |
사회복지조사론(2주 차 2차 시) <가설과 조작적 정의>사회복지조사에서 가설이란 무엇일까요? (0) | 2023.01.12 |
사회복지조사론(2주 차 1차시)<개념과 변수>사회복지조사에서 '개념'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