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미션)
Q. 사회복지조사(social welfare research)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
A.<전문가 의견>
사회복지 관련 전문가가 사회복지 현장에 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할 때
사회복지 대상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인구학적 배경 등) 사회복지 대상자가 가진 욕구를 파악하고자 할 때
일반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자 할 때 (인식 정도 등) 사회복지 대상자의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 성과를 측정하고자 할 때
♡학습평가
1. 다음 중 사회복지 조사가 필요한 이유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사회 복지 관련 전문가가 사회복지 현장에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할 때
②지역의 사회복지 대상자에 대한 인구학적 배경을 알고자 할 때
③사회 복지 대상자가 가진 욕구를 파악할 때
④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 특정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일반인 대상으로 측정할 때
정답:④
2. 일상적 지식 습득의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사후가설 설정- 관찰을 한 후에 관찰에 들어맞게 가설을 설정한다.
②과도한 일반화-일반화에 들어맞는 관찰들은 사실이라고 선택하고 그것에 어긋나는 관찰을 버리는 것이다.
③신비화-문제를 이해를 수 없을 때, 초자연적 현상으로 간주한다.
④부정적인 관찰-무의식적으로 조금 전에 만났던 사람이 검은색의 양말을 신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정답:②
3. 사회복지 전문직에게 과학적 지식을 위한 과학적 방법이 중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①전문적으로서 책임이 따른다.
②사회적 자원을 활용함에 있어 적절한 활용 여부에 대해 증명할 필요성이 있다.
③기존의 사회복지 지식체계를 위한 사회과학 지식이 매우 부족하다.
④ 다른 유사 직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척만이 필요하다.
정답:④
(사회복지조사론 1주 1차시 학습 정리)
1.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의 과학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인정과 발전, 사회복지사 자격시험과 석.박사학위논문, 실천 현장 등에서 필요하다.
2. 과학적 지식 탐구는 현상에서 개념, 개념에서 가설, 가설에서 검증의 과정을 거쳐 이론을 도출하는 것으로 매우 체계적인 틀을 갖추고 있어서 오류의 가능성이 비과학적인 지식 탐구보다 낮다.
3. 비과학적 지식 탐구는 관습과 권위, 직관에 의해 지식을 얻게 되므로 오류의 가능성이 높다.
4. 일상적인 지식 탐구 과정에서 일어나기 쉬운 오류는 부정확한 관찰, 과도한 일반화, 선별적 관찰, 꾸며낸 지식(고정관념), 사후 가설(소급 가설), 비논리적 추론, 자아 개입, 탐구의 조기 종결, 신비화 등이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조사가 필요한이유#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사회복지조사#사회복지대상자
'사회복지사 2급 > 사회복지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조사론(3주 차 2차 시)<사회복지조사의 절차>사회조사의 과학적 연구 수행 과정은 어떤 절차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0) | 2023.01.29 |
---|---|
사회복지조사론(3주 차 1차시)<사회복지조사의 유형>사회조사의 형태는 다양하다. 사회조사의 형태는 무엇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나? (0) | 2023.01.29 |
사회복지조사론(2주 차 2차 시) <가설과 조작적 정의>사회복지조사에서 가설이란 무엇일까요? (0) | 2023.01.12 |
사회복지조사론(2주 차 1차시)<개념과 변수>사회복지조사에서 '개념'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0) | 2023.01.12 |
사회복지조사론(1주 차 2차 시) <과학적방법과 사회학>과학적인 방법이 지식 탐구를 위한 완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나?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