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론

가족복지론(4주차1차시)가족정책3

 

(오늘의 미션)

Q. 외국의 가족복지와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가족복지는 어느 단계에 있을까요?

A.<전문가 의견>

외국의 가족복지와 비교해 볼 때 우리나의 가족복지는 아동복지가 가장 잘 되어 있는 스웨덴을 향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족정책은 고착화보다는 역사적으로 변화해 하 가는 것이며, 한국의 가족정책은 독일 단계인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에서 스웨덴의 개인으로서의 임금노동자-보살핌 노동자 유형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습평가

1.1986년 아동 양육수당 휴가 제도 도입은 돌봄 노동이 갖는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답: O

2. 고티어(2002)는 가족정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현금 급여 정책(재정 지원:가족수당, 자녀수당, 출산수당 등)

②시간 정책(모성 및 부성휴가, 부모휴가:육아휴직)

③서비스 지원 보육 인프라 정책

④소득 보장 정책

정답:④

3. 가족정책의 영역 3가지 영역이 아닌 것은?

①양육과 보유자로서 여성 인식 영역

②여성의 노동권 관련 영역

③전통적 가족 개념 고수 대 사회 변화에 따라 다양한 가족형태인 정

④현대적 가족 개념 고수 대 특별한 가족형태 인정

정답:④

(가족복지론 4주 차 1차시 학습 정리)

1, 고티어(2002)의 가족정책 구성요소로는 현금급여 정책(재정 지원:가족수당, 자녀수당, 출산수당 등), 시간 정책(모성 및 부성휴가, 부모효과:육아휴직), 서비스 지원 및 인프라 정책 등이 있다.

2. 가족정책의 유형화는 각국의 가족정책 고착화보다는 역사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이며, 한국의 가족정책은 ①남성 생계부양자 모델→③개인으로서의 임금노동자-보살핌 노동자 유형으로 변화해 가는 것이고, 독일은 ①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에 있고, 노르웨이와 프랑스는 ②성 역할 분리 유형에 있고 스웨덴은 ③개인으로서의 임금노동자-보살핌 노동자 유성으로 나아가고 있다.

즉 양성평등이 완성될수록 ③개인으로서의 임금노동자-보살핌 노동자 유형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 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론#가족정책#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가족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