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 가족의 생활주기와 발달 과업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본인의 현재 가족생활주기는 어떻게 되며,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A: <전문가의 의견>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를 인강의 삶 과정이라고 한다면, 가족의 생활주기는 가족의 형성에서부터 시작하여 확대되어 해체되고 소멸까지의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 가족은 현재 자녀 양육 과정으로 발달과업은 아동 양육에 따른 부모 역할 및 생활 변화에 적응해야 하고, 늘어나 가사노동과 아동 양육에 부부가 공동으로 참여가 필요하고, 자녀를 위한 물질적, 정서적 가정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맞벌이 가정으로 양육 대체인력이 필요하다.
♡ 학습평가
1. 가족의 생활주기는 가족의 형성에서부터 시작하여 확대되어 해체되고 소멸까지
의 과정이다. O
2. 가족의 생활주기 및 단계에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 형성기는 결혼부터 첫째 아이 출산 시점까지이다.
②확대기 및 확대 완료기는 첫째 아이 출산부터 막내 아이 출산 시점까지이다.
③축소기 및 축소 완료기는 자녀 결혼 시작부터 막내 자녀 결혼까지이다.
④해체기는 배우자 사망부터 본인 사망까지이다.
정답:②
3. 다음은 새로운 가족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바르지 않는 것은?
①1970~1980년대 (yuppi:young) 족:도시 근교에 살며. 전문직에 종사하면서 고소득을 올리는 젊은 부자
②1990년대 더피족:고등 교육을 받고도 경기 불황으로 정규 직장이 아닌 임시적으로 생활하는 무리
③1990년대에 딩크(Double Income, No kids) 족: 자녀 없는 맞벌이 부부
④2000년대의 통 크 ( Two Only No Kids:TONK) 족: 노후를 자녀와 함께 생활하려는 고령층을 지칭
정답:④
( 가족 복지론 1주 1차 시 학습 정리)
1.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란
결혼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족을 형성하고 자녀를 출생하여 가족이 확대되고, 자녀들이 성장하여 결혼하게 되어 독립함으로써 가족이 축소하고, 노부부가 사망함으로써 가족이 소멸되는 것이다.
2, 한국인의 가족 주기는
대체적으로 형성기-확대-축소기-해체기를 거친다.
3. 현대 사회는
획일성보다는 다양성, 정형화보다는 유연화, 규칙과 적응보다는 정서와 사랑의 공동체로서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가족에 대한 역사성, 문화적 특수성을 인식하는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4. 한국의 가족 문제는
첫째, 1인 가구의 증가와 1~2세대 중심의 핵가족화에 따른 영향으로 가족 유형이 다양해지는 문제가 제기되어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 정책이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가족 형성기부터 가족 축소기까지는 단축되는 반면, 가족 축소기부터 가족 해체기까지는 점차적으로 연장으로 가족생활주기상 문제를 이해, 맞춤형 가족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소가족화 핵가족화 엿성의 경제활동 및 사회 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가족 부양관이 약화되고, 가족 부양 체계의 불안정 현상이 가속화되어 가족과 사회 그리고 정부 삼자 간에 바람직한 가족 부양 분담 방안 모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 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가족복지론#가족생활의 발달주기#에이플러스교육원#학점은행제#가족의 생활주기
'사회복지사 2급 >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복지론(3주차2차시)가족정책2 (1) | 2022.11.01 |
---|---|
가족복지론(3주차1차시)가족정책1 (0) | 2022.11.01 |
가족복지론(2주차2차시)가족사회사업(복지)에 대한 이해2 (0) | 2022.11.01 |
가족복지론(2주차1차시)가족사업사회(복지)이 대한 이해1 (0) | 2022.11.01 |
가족복지론(1주차1차시)가족에 대한 이해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