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미션)
Q. 건강보험으로 처리되지 않는 치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질병에 처한 클라이언트를 돕기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활동 중인 사회복지사로서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일까?
A.<전문가 의견>
일반 병원보다는 국공립병원의 경우에 치료비가 저렴한 경우가 많으며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 사회복지사와 연계하여 치료비를 감면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중증 질환자의 치료비를 지원하는 사회복지법인이나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을 통해 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다.
♡학습평가
1. 교통사고로 병원이 입원한 클라이언트에게 중증 장애인이 될 것이라고 고지할 때 클라이언트의 첫 번째 심리적 반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①수용
②죄책감
③불안
④부정
정답:④
2. 의료 사회복지사는 타 전문가와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정답:O
3. 군 사회복지는 군대 생활만을 대상으로 한다.
정답:X
(사회복지학 개론 13주 차 2차시 학습 정리)
1. 의료 사회복지의 개념
:의료 사회복지는 환자의 심리적, 사회적 및 경제적 문제가 질병의 치료나 회복에 악순환을 주지 않도록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정하여 환자 및 가 가족을 돕는 활동이다.
2. 의료 사회복지의 필요성
:환자는 질병을 경험할 경우에 수반되는 어려움들은 질병 그 자체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 심리적 문제와 적응, 정서적 어려움, 지업의 문제를 동반한다.
3. 의료 사회복지의 대상
(1) 일반적인 환자의 심리적 반응
(2) 만성 환자의 심리적 문제
(3) 가족의 심리적 반응
(4) 환자와 가족의 사회경제적 문제
4. 군사회 복지의 정의
:군사회 복지는 군의 고유한 목적이 최대한 달성될 수 있도록 원조하는 활동으로서 군의 구성원인 군인과 그 가족의 복진을 증진하는 전문 활동이다.
5. 군사회 복지의 목적
:군의 구성원이 그들이 처한 환경에 원만히 적응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돕는다.
6. 군인의 복지 욕구
:국방부에서는 군인의 욕구를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이론에 근거하여 구분한다.
7. 군사회 복지의 역할과 기능
:군 사회복지사는 군대 내 고충처리 전문가로서 군인과 군인 가족의 심리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복무 부적응 병사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 내용은 에이플러스교육원(www.aplus.ac) 강의 수강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 2급 > 사회복지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학개론(14주2차시)사회복지사의 실천분야8 (0) | 2022.10.09 |
---|---|
사회복지학개론(14주차1차시)사회복지사의 실천분야7 (0) | 2022.10.09 |
사회복지학개론(13주차1차시)사회복지의 실천분야5 (0) | 2022.10.09 |
사회복지학개론(12주차2차시)사회복지의 실천분야4 (0) | 2022.10.09 |
사회복지학개론(12주차1차시)사회복지의 실천분야3 (0) | 2022.10.09 |